«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 | Main | 우리 생애 최고의 세계 기차 여행 »

성은 환상이다

기시다 슈 지음/박규태 옮김/이학사/12000원

인간은 본능이 고장난 동물이다. 본능에 충실한 동물들은 종족번식을 위해 때가 되면 발정기가 오고, 그 때 성행위를 통해 자식을 갖는다. 하지만 본능이 고장난 인간들은 종족번식을 위해 본능적으로 성행위를 하지 않는다. 이 고장난 본능을 대체하기 위해 인간의 문화는 성욕을 발명해내고 그것을 조장해 온 것이다. 이 책은 이 대전제에서 출발한다.

여기서 이 "본능"이라는 단어에 주목해보자. 지금껏 우리는 흔히 성욕 자체를 "본능"이라고 설명하는 담론에 익숙해져있다. 성매매 방지법에 반발하는 논리들이 특히 이런 담론에 기대는데, 간략히 말해 성욕은 본능이라 어쩔 수 없으므로 매춘을 통해서라도 해소시키지 않으면 각종 성범죄를 양산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조금만 돌려 생각해보면 이런 논리에는 아주 간단한 반론이 가능하다. 동물들은 매춘도 강간도 안 한다. 오직 문명을 이룬 인간만이 성욕을 어쩔 줄 몰라 쩔쩔맨다. 그렇다면 성욕은 본능이 아니라 문화라고 보는 것이 훨씬 설득력있지 않을까. 그래서 온갖 성범죄와 성차별들의 원인을 본능의 탓으로 돌리기보다, 그것을 양산해내는 문화 자체를 까뒤집어보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물론 이 작업이 녹록치는 않다. 보통 문화는 온갖 터부와 통념들로 자신을 감추기 마련이다. 때문에 우리는 종종 우리 문화가 보여주는 서로 모순된 양상들 속에서 길을 잃곤 하는 것이다. 이 거짓 알리바이의 함정을 피해, 문화가 무심코 내뱉는 진심들을 놓치지 않고 물고 늘어지는 끈질김만이 그 작업을 가능케한다. 이 책의 저자가 프로이트 심리학자라는 것은 때문에 결코 우연이 아니다. 저 깊은 곳에서 부글거리며 끓어오르는 무의식의 세계를 휘집어 억압된 자아를 해방시키는 치유의 과정은 문화라는 이름의 집단적 무의식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리라.

언제나 프로이트 심리학은 쉽게 부정하지는 못하지만, 그렇다고 냉큼 받아들이기에도 거북살스러운 면이 있다. 본문에서 저자는 추정형의 문장들을 계속 사용하는데, 이는 논리적 정합성을 학문의 기본 요건으로 간주하는 사람에게는(물론, 나다 -_-) 어딘지 믿음직스럽지 못한 느낌을 준다. 그렇지만 하나의 가정이 그를 통해 일관성을 가지고 이 세계를 설득력있게 해석해낼 수 있다면, 그 가정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볼 필요는 분명히 있을 것이다. 그리 세상에 나온지 오래되지 않은 책이지만, 충분히 이 시대의 고전이 될만한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TrackBack

TrackBack URL for this entry:
http://www.turnleft.org/cgi/mt/mt-tb.cgi/583

Post a comment

About

This page contains a single entry from the blog posted on December 4, 2005 12:00 AM.

The previous post in this blog was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

The next post in this blog is 우리 생애 최고의 세계 기차 여행.

Many more can be found on the main index page or by looking through the arch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