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통신 지음/최정숙 옮김/미래의 창/15000원
표지를 장식한 사진은 한 팔레스타인 소년이 손에 돌무더기를 움켜쥔 채 뒷짐을 지고 있는 모습을 담고 있다. CG로 붉게 채색한 돌은 마치 팔레스타인 땅에 흐르고 있는 그들의 피를 머금고 있는 것만 같다. 사진이 주는 강렬한 메세지. 때로 한 장의 사진은 그 어떤 글이나 연설보다 강하다.
이 책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을 취재한 로이터 통신 기자들의 글과 사진을 모아놓은 책이다. 한 장에 많은 것을 응축해 넣는 보도사진과 함께, 이/팔 분쟁의 역사와 배경, 현재를 보여주고 있다. 통신사 기자들다운 객관성과 날카로운 순간 포착이 돋보이는 글과 사진들은 팔레스타인의 현재에 대해 많은 진실을 담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현장에 매몰되다보면 역시나 그 저변의 권력관계에 대해서는 다분히 소원해지기 마련인 것 같다. 이 책은 왜 미국이 이/팔 분쟁에 개입하는지, 미국이 왜 현재의 사태에 책임감을 느껴야하는지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미국이 단지 유일한 강대국이어서 국제분쟁에 소명의식을 느껴야한다는 식의 유치한 해석은 물론 안 할 거라고 본다. 중동자원의 석유 자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해 미국이 어떻게 부당하게 중동의 역사에 개입해왔는지, 그들의 이해를 충실하게 반영해줄 전략적 파트너로서 이스라엘을 어떻게 지원해왔는지, 그리고 그 목적을 위해 팔레스타인 민중의 정당한 요구를 어떻게 외면해 왔는지를 설명하지 않고 팔레스타인의 현재를 말할 수 있을까? 그러한 사실을 외면한 채 양비론에 가까운 중립이란 과연 "중립적"일까?
어쨌건, 사진은 정말 멋지다 -_-)=b